물놀이 후 귀가 간지럽고, 찌릿하거나 먹먹한 느낌 들었던 적 있으세요? 단순히 물이 들어간 게 아닐 수 있어요. 요즘처럼 무더위가 계속되는 여름, 수영장이나 바닷가 찾는 분들이 많아지면서 외이도염 환자도 급증하고 있답니다.
안녕하세요! 여름철이면 어김없이 물놀이가 빠질 수 없죠. 그런데 귀에 물 들어갔다고 대수롭지 않게 넘기면 큰일 날 수 있다는 거, 알고 계셨나요? 저도 아이랑 놀다가 귀에 물 들어갔을 때 괜히 신경이 쓰이더라고요. 오늘은 여름철에 자주 생기는 외이도염에 대해 쉽고 자세하게 알아볼게요!
외이도염이란?
외이도염은 귀 입구부터 고막까지 연결된 귓구멍(외이도)에 생기는 염증이에요. 외이도는 S자 형태로 되어 있어서 세균이나 이물질이 쉽게 들어가지 못하게 막아주는 구조죠. 또 이 안에는 귀지가 자연스럽게 생성되어 세균을 막아주는 역할도 한답니다. 하지만 너무 자주 후비거나, 물이 자주 들어가는 등 자극이 반복되면 외이도 피부가 손상되면서 염증이 생길 수 있어요.
여름철에 더 잘 생기는 이유
원인 | 설명 |
---|---|
기온과 습도 상승 | 세균·곰팡이가 번식하기 좋은 환경 |
귀 안에 고인 물 | 습기가 오래 남아 감염 가능성 증가 |
수영장 소독제나 바닷물 염분 | 피부 자극 → 외이도 보호막 손상 |
자주 귀를 만지는 습관 | 미세 상처 유발 → 감염 경로가 됨 |
특히 아이들은 귓구멍이 작고 연약해서 물이 잘 빠지지 않기 때문에 외이도염에 더 취약해요.
귀를 소독해도 될까?
- 알코올, 과산화수소수 사용은 오히려 해로움
- 피부를 건조하게 만들고 보호막을 제거함
- 자극이 염증을 더 유발할 수 있음
- 귀도 가죽처럼 유분과 수분의 밸런스가 필요함
귀에 이상이 느껴지면 스스로 해결하려 하지 말고 전문의 진단을 받는 것이 가장 안전해요.
물놀이 후 귀 관리법
물놀이 후에는 귀를 빠르게 말리는 게 핵심이에요. 고개를 기울이거나 귀를 살짝 당겨서 물을 빼주세요. 헤어드라이어를 사용할 땐 차가운 바람으로, 귀에서 20~30cm 떨어진 거리에서 말리는 게 좋아요.
물기 제거 후 귀가 따갑거나 건조하게 느껴진다면,
전문의의 진료
를 받아 보습 크림을 사용하는 것도 방법이에요. 면봉은 절대로 깊게 넣지 말고, 귀 안쪽이 가려울 땐 후비기보다 진료를 받는 게 훨씬 안전합니다.
방치하면 어떤 위험이?
단계 | 설명 |
---|---|
급성 외이도염 | 초기 치료 시 빠르게 호전 가능 |
만성 외이도염 | 방치 시 염증이 계속되고 악화됨 |
중이염 | 고막을 뚫고 중이까지 염증 확산 |
귀 건강 지키는 습관
- 귀는 항상 건조하게 유지하세요.
- 물 들어갔다면 자연스럽게 배출되도록 유도
- 면봉은 겉만 닦는 용도로만 사용
- 이상 증상이 있으면 병원 진료 받기
- 자극적인 소독제는 절대 NO!
- 아이들의 귀도 평소에 관심 갖고 살펴보세요.
자주 묻는 질문 (FAQ)
Q. 귀에 물이 들어갔는데 꼭 병원에 가야 하나요?
A. 대부분 자연 배출되지만, 하루 이상 불편하다면 이비인후과 진료를 받아보세요.
Q. 귀에 알코올을 넣으면 안 되나요?
A. 귀의 자연 방어막을 파괴해 오히려 감염 위험을 높일 수 있어요.
Q. 외이도염은 전염되나요?
A. 전염은 안 되지만 자주 귀를 만지면 세균이 침투할 수 있어요.
Q. 수영장 갈 때 귀마개를 써야 하나요?
A. 네, 귀마개는 물 유입을 막아주기 때문에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Q. 아이가 귀를 자꾸 만져요. 외이도염일까요?
A. 가능성이 있어요. 아이는 말로 표현하기 어려워 행동으로 나타낼 수 있어요.
Q. 귀 안이 간지러울 때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면봉으로 긁지 마시고, 병원에서 외용약 처방을 받아보세요.
여름철 물놀이는 즐겁지만, 귀 관리는 꼭 필요해요. 간단한 습관만 지켜도 외이도염 같은 귀 질환은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답니다. 아이들과 함께라면 더욱 주의해야겠죠? 물놀이 후엔 꼭 귀 상태 확인해보세요.
귀는 한 번 손상되면 회복이 어렵기도 해요. 이번 여름엔 귀 건강도 챙기며, 더 안전하고 시원한 시간을 보내시길 바랍니다 😊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뇨병으로 망가진 췌장, 회복할 수 있을까? (5) | 2025.07.16 |
---|---|
갑작스레 찾아오는 옆구리 통증, 요로결석이라면? (5) | 2025.07.15 |
수면 환경이 건강을 바꾼다! 조명부터 점검하세요 (7) | 2025.07.08 |
감기 아닌 기침이 계속된다면? 천식 의심해야 할 때 (3) | 2025.07.04 |
모기로 전염되는 감염병, 어떤 게 있을까? (4) | 2025.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