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다자녀 가구 최대 100만원 추가 혜택! 신용카드 소득공제 개편 내용 총정리

by 마이마인 2025. 8. 4.

올해 말 종료 예정이던 신용카드 소득공제 제도가 2028년까지 3년 더 연장되면서, 다자녀 가구에 대한 혜택이 크게 확대되었습니다. 이번 개편으로 자녀가 있는 가정은 최대 100만원까지 추가 공제를 받을 수 있어 세부담 완화 효과가 기대됩니다.

다자녀 가구 100만원 추가! 신용카드 공제 개편

1️⃣ 신용카드 소득공제란?

근로자의 연간 신용카드 사용액 중 총급여의 25%를 초과하는 금액의 15%를 소득에서 공제해 세금을 줄여주는 제도입니다. 기존에는 최대 300만원까지 공제가 가능했습니다.

2️⃣ 신용·체크카드, 현금영수증 공제율

  • 신용카드 사용액: 15% 공제
  • 체크카드·현금영수증: 30% 공제

체크카드와 현금영수증 비율이 더 높으므로 적절히 분산 사용하면 절세 효과가 큽니다.

3️⃣ 다자녀 가구 공제 한도 확대

이번 개편으로 자녀가 있는 가구는 공제 한도가 늘어나 더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총급여 7천만원 이하: 자녀 1명당 50만원 추가 (최대 100만원)
  • 총급여 7천만원 초과: 자녀 1명당 25만원 추가 (최대 50만원)

➡️ 자녀 2명 이상이면 최대 400만원(7천만원 이하)까지 공제 가능

4️⃣ 현행 vs 개정안 비교표

구분 총급여 7천만원 이하 총급여 7천만원 초과
현행 300만원 250만원
개정안(자녀 1명) 350만원 275만원
개정안(자녀 2명 이상) 400만원 300만원

5️⃣ 보육수당·월세 세액공제 추가 혜택

  • 보육수당 비과세 한도 확대: 기존 월 20만원 → 자녀당 월 20만원
  • 월세 세액공제 확대: 3자녀 이상 가구는 주택 면적 100㎡ 이하까지 공제 가능

6️⃣ 절세 팁과 유의사항

  • 신용·체크카드 사용액을 합산해 25% 초과분만 공제
  • 자녀 수 반영을 위해 가족관계등록부 제출 필수
  • 2025년부터 개편안 적용 예정

이번 개편으로 다자녀 가구의 연말정산 부담이 확실히 줄어들 전망입니다. 카드 사용 내역을 미리 점검하고, 자녀 수에 따른 혜택을 놓치지 않고 챙겨보세요.